본문 바로가기

암호화폐

금리인상이 미치는 영향은?

728x90
728x170

 

 

 

미국 연준(Fed)는 지난해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30년 만에 최대폭 상승이었습니다.

미 연준의 이러한 파격적인 자이언트 스텝급의 금리인상은 본국 뿐만 아니라 타국까지 경제 구석구석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미국발 금리인상으로 인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 있을까요?

 

 

가장먼저, 부동산 대출금리의 상승입니다.

 

부동산 대출금리 상승!!

 

우리나라가 특히 가장 선호하는 자산을 꼽는다면?! 단연코 부동산일 것입니다.

미국의 금리인상은 부동산 대출금리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이것은 우리나라 뿐만은 아닙니다.

 

 

실제로 미국에서 가장 일반적인 30년 만기 고정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는 이미 6%까지 치솟았습니다.

2008년 이후 최고치라고 합니다.

 

 

우리나도 부동산 대출금리도 5~6%에 도달한 듯 합니다.

대출금리의 상승으로 인해...... 부동산의 여러가지 이슈가 발생하고 있는데요!!

집값의 하락과 월세의 비약적인 증가입니다.

 

 

주택담보대출이 올라감에 따라 부동산에 투자하는 사람이 줄어들었습니다. 심지어 부동산을 포기하고 차박을 하는 사람도 늘어나고 있다는 소식도 들리는 것 같습니다. 그럼에 따라 자연스럽게 서울 등 그간 제로금리에 가까운 시대를 지내오며 급 상승한 부동산 지역은 현재 집값 하락추세를 걷고 있습니다.

 

 

뿐만 아닙니다. 전세대출도 어려움이 많아서... 전세를 선호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월세로 돌아섰다고 합니다.

전세는 내놔도 나가지 않는 상황이며... 월세의 증가세가 가파르다고 합니다.

 

 

 

고용시장 둔화 및 경기침체 위험

 

 

코로나 펜데믹이 종식의 길에 접어듬에 따라 노동시장은 잠시나마 호황을 맞았습니다.

그동안 코로나로 인해 직장을 그만둔 사람들이 지원금을 받으며 생계를 유지하는 생활을 해옴에 따라 움츠려있던 고용시장인지라.. 포스트 팬데믹 시기 노동시장은 호황을 맞았었습니다.

 

 

그러나 수요가 감소하면서 이제 이러한 모습도 끝나가는 듯 합니다.

 

 

미국을 예로 들면... 최근 금리인상으로 인해 대두되고 있는 경기침체의 분위기속 많은 기업들이 긴축에 들어가고 있다고 합니다. 기업의 긴축이라면 가장먼저 떠오르는 것이 감원인데요!!

그만큼 최근 미국의 대기업을 시작으로 잇따라 신규 채용 축소 혹은 중단 소식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금리 인상에 더불어 경기가 둔화하는 상황에서 연준의 선택으로 '경기침체' 즉, 지속해서 경기가 침체하는 상황이 촉발될 수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약달러를 위장하려는 강달러!!

 

금리인상은 달러의 가치 상승을 가져옵니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더 높은 수익률을 원하는 글로벌 작므들이 미국으로 쏠리고 있다고 합니다. 이에 미국 달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며 달러의 상승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달러는 현재 세계 기축통화의 위치에 있으나...

코로나 펜데믹으로 인한 무제한 양적완화로 그 위상에 흠집이 생겼었습니다.

현재 미국의 부채는 한화 3경원에 달하죠!! 엄청난 부채가 쌓일만큼 미국은 달러의 무제한 발행하였습니다. 자연스럽게 달러의 가치는 하락했는데요!!

 

 

달러의 가치 하락은 미국에게 좋지 않습니다. 미국의 금리인상을 하면서 얻은 것이라곤 '강달러'의 이미지를 가져왔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도 잠시이지 않을까 합니다.

 

 

미국의 달러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하락하고 있으며..

세계의 기축통화는 100년 주기로 손바꿈을 하고 있습니다. 곧 미국의 달러도 100년을 맞이하게 됩니다. '강달러'의 시대는 강렬하지만 짧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세계 각국들 너도나도 금리인상 동참

 

미국의 기준금리를 올리면 다른 나라는 금리인상을 하지 않을 수 없는 경제상황입니다.

자국의 자금이 해외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 입니다.

 

 

따라서, 아르헨티나는 기준금리를 50%까지 끌어올렸고, 우리나라도 미국 금리인상의 눈치를 보며 기준금리를 올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 영국, 스위스, 호주, 캐나다 등 수십 국의 중앙은행은 지난해 금리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세계 경제가 동시에 몸서리를 치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은 마치 나비효과와 같아서, 커다른 경기침체가 올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말이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는 듯 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