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호화폐

실시간총액결제시스템(RTGS)은 초석 XRP의 시대로의..

728x90
728x170

지금 이 이야기를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그 분은

아마도 저와 같은 곳을

보면서 같이 생각을 하고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미국 금융기관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과...

 

 

실시간총액결제시스템의 도입!

 

 

그리고 결국은

리플사의 ILP 도입과 XRP의 활용!

 

 

이 모든 것이 일어나기 까지

앞으로 걸리는 기간?

2025년 어느순간 일거라고 생각합니다.

 

 

자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왜 나는 XRP에 투자하고 있는가!

 

 

미국 은행의 파산

 

 

미국은행 SVB은행이 파산했습니다.

이어서

스위스의 은행 CS가 파산하며

UBS에 인수되는 과정을 겪었습니다.

 

 

그리고.

아직도 금융권의 위기는 아직도 끝나지 않았듯 합니다.

러-우전쟁과, 이스라엘 전쟁으로 인해...

 

 

이 모든 일의 근원은

미국의 과격한 금리인상이라고는 하지만...

은행권, 즉 기존 레거시 금융기관은

리스크를 안고 있습니다.

 

 

바로

"신용 리스크"

 

은행들의 차액정산 시스템은

신용리스크를 안고 있습니다.

 

 

이것이 결국 터진것이죠!

과격한 금리인상으로 인해서 말입니다.

 
'SVB 남일 아니다'…2025년까지 은행 차액결제 담보율 100% 추진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박대한 민선희 기자 = 한국은행이 차액결제 실패를 대비해 은행으로부터 받아놓는 담보의 비율을 2025년 8월까지 100...

www.yna.co.kr

 

 

실시간총액결제(RTGS)

 

 

실시간총액결제

real time gross settlement

생소하시죠?

 

 

하지만 현재 미국을 필두로해서

결제시스템이 변화를 꾸리고 있습니다.

바로 실시간정산시스템으로 말입니다.

 

 

<한국은행 보고자료 중>

한국은행 보고자료 중

미국의 페드나우 2023년 7월에 출시가 되었습니다.

 

 

시기가 절묘하죠?

 

 

신용리스크로 인해 터진

은행 파산!

 

 

그리고 신용리스크를 타개할 수 있는 해법

RTGS 시스템!!

 

 

왜 XRP

 

 

한국은행의 보고자료를

자세히 살펴보면 알 수 있습니다.

 

 

왜 XRP인지!

 

BIS 국제결제은행은

던바 프로젝트라는 국가간 CBDC 송금 시스템을

개발중이죠~

 

 

또 BIS는

RTGS의 국가간 즉시 송금을 위한 시스템인

넥서스 프로젝트도 진행중입니다.

 

 

아직 뭐 뚜렷한 결과가 있지는 않지만..

싱가포르를 비롯해 몇개 국가들과 함께

개발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소히 은행권에서 말하는 지준금이 필요합니다.

각 나라간 송금을 위해서는

각국의 화폐를 구비해 놔야 한다는 말이죠

 

 

이것은 바로 기회비용을 발생시키며..

이로인해

리스크가 생기게 되어있습니다.

 

 

결국 전세계 모든 화폐를 포함한

가치있는 것의 즉시 송금엔

XRP만한게 없습니다.

 

 

XRP는 브릿지통화로써

저렴한 수수료와 안전한 시스템

그리고 즉시 송금이 가능합니다.

 

 

더구나..

ISO20022까지 채택하고 있죠!

 

 

모든 국가의 중앙은행을 비롯해

금융기관들은

제가 알기론 2025년까지 ISO20022를

반영하게 권고되고 있습니다.

 

 

ISO는 통신 프로토콜로 금융권에서 쓰는

문자같은 것인데..

이를 통합하는 것이죠

 

 

각국 국가들끼리 다른 언어로 말하면

소통이 안되니깐 말이죠!!

 

 

XRP 리플넷, ILP시스템!

 

 

모든 것을 통합할 것입니다.

2025~ 2030년 사이가 될까요? ^^

 

 

기대해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글은 지극히 개인적인 사견입니다.

투자에 대한 권유는 아닙을 명심하시기 바라며

XRP 투자자 분들은 왜 XRP에 투자하고 있는지

다시금 생각하는 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728x90